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혜택 총정리

nowhome1 2025. 8. 4. 11:41

목차



    반응형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2026년 기준중위소득이 역대 최대폭인 6.51% 인상되면서, 다양한 복지 혜택과 정책 기준이 대폭 달라졌습니다. 특히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구간은 고소득층은 아니지만 생활안정과 자녀교육, 주거비, 의료비 등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가구에게 매우 중요한 기준선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최신 수치를 기반으로 각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가능한 지원 정책과 활용 방법을 안내합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소득값을 의미합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매년 고시하며, 80여 개 복지사업의 수급자격 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됩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4인 가구 기준)은 월 649만 4,738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40만 원 인상된 수치로, 1인 가구는 256만 4,238원, 3인 가구는 535만 9,036원입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수치표

     

     

    가구원 수 100% 기준 120% 150% 180%
    1인 가구 2,564,238원 3,077,085원 3,846,357원 4,615,628원
    2인 가구 4,199,292원 5,039,150원 6,298,938원 7,558,726원
    3인 가구 5,359,036원 6,430,843원 8,038,554원 9,646,265원
    4인 가구 6,494,738원 7,793,686원 9,742,107원 11,690,529원
    5인 가구 7,556,719원 9,068,063원 11,335,078원 13,602,094원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 실질적 중산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는 중산층 이하 또는 맞벌이 가구 중 일부가 해당될 수 있으며, 복지제도에 따라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혜택:

     

    • 예술활동준비금 지원 (문화체육관광부): 예비 예술인의 창작 준비를 위한 생계비 지원
    • 청년내일저축계좌(Ⅱ형): 매월 일정 금액 적립 시 정부가 추가 지원
    • 통합문화이용권: 연간 10만 원 내외의 영화, 공연, 전시 관람비 지원
    • 디지털배움터 교육비 감면: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무료 수강

    👉 특히 프리랜서, 예비 창업자,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은 120% 이하 구간 확인 필수입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 육아, 교육, 건강관리 혜택 확대

     

    150% 이하 구간은 보편복지와 맞춤형 복지의 경계선으로, 자녀 양육 가구, 다문화·한부모 가정, 청년층이 주요 대상입니다.

    대표 혜택:

     

    • 청년월세지원: 최대 월 20만 원까지 월세 지원
    •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연간 최대 13만 원 상당의 생리대 구매권
    • 가사간병 방문서비스: 신체활동이 어려운 가정 대상 돌봄 지원
    •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우선 배정: 가족 상담,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용 가능

    👉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은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일 경우 양육지원 및 방과후 프로그램 신청이 가능해 실질 혜택이 큽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 교육·문화·정책대출 우선권 제공

     

    180% 이하 구간은 복지지원의 마지막 허용선으로, 자녀가 2~3명인 맞벌이 가정이나 대도시 거주 서민층에게 중요한 기준입니다.

    주요 혜택:

     

    • 국가장학금 Ⅱ유형: 소득 8분위 이하 대학생 대상 등록금 일부 지원
    •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 감면: 시간제 돌봄비용 대폭 축소
    • 디딤씨앗통장 매칭지원: 보호아동 자립을 위한 적립형 금융 지원
    • 무상보육 우선배정: 국공립 어린이집, 유치원 입소 시 가점 부여

    👉 중위소득 180% 이하인 경우 고소득은 아니지만, 교육비 부담 완화를 위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립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꼭 확인하세요 – 실수로 놓치기 쉬운 소득인정액 개념

     

     

     

     

    실제 복지 수급 자격은 월급이나 연봉이 아닌 ‘소득인정액’으로 판단됩니다. 소득인정액은 근로소득 + 금융자산 + 부동산 + 차량 등을 일정 비율로 소득처럼 환산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월소득은 적어도 자동차나 예금이 많으면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일정 자산공제를 받아 자격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마무리 – 기준중위소득 120~180% 구간도 꼭 확인하세요

     

     

     

     

    그동안 ‘기초생활수급자만 복지혜택을 받는다’고 생각하셨다면 오해입니다.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는 ‘정책 혜택의 문턱선’ 역할을 하며, 실제로는 많은 중산층 가구도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복지로에서 모의계산을 통해 내 소득 기준을 확인하고,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꼼꼼히 체크해보세요. 작은 지원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2026년 기준중위소득 120%, 150%, 180% 이하

     

    반응형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cyahn60@daum.net | 운영자 : 신중년액티브형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